작성자는 실제 업무 종사자가 아닙니다 리눅스 사용경험 및 인터넷 검색에서 유용한 팁을 모았습니다
특정 파일 확장자만 관리하기
만약 리눅스 시스템에서
특정 디렉토리 내에 쌓인 모든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,
(로그 파일 등)
필요한 명령어:
$ find /home/temp/* -name "*" -exec rm -rf {} \;
위 명령어를 실행 시 "/home/temp/" 내에 폴더및 파일이 모두 삭제가 된다.
특정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싶다면
$ find /the/path -name "file_name" -exec rm -rf {} \;
만약에 특정 로고나 특정 문구가 동일한 파일이라면 -name "file_name*" 로 해주면 된다.
file_name* 인 모든 파일이 삭제된다.
해석)
find /home/temp/* :
temp 디렉토리 하위의 디렉토리 및 파일을 모두 검색.
-exec의 의미는 '조건을 가지고 찾은 파일들을 대상으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라'
- onlyoll님의 해석-
자세한 내용은 리눅스커맨드 문서에서 확인
파일 무결성 검사하기
파일 해쉬값을 이용한 무결성 검사이다.
보통 SHA256,SHA512를 많이 사용하므로
$ sha256sum <file name> # 가장 많이 쓰임
$ sha512sum <file name> # 이것도 많이 쓰임
터미널에서 명령어 입력 후 원본과 비교해본다.
일반 사용자는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.
간단하면서도 유용한 명령어.
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한 바이에이션이 존재한다.
자세한 내용은 (암호관련 글)에서 확인
(empty)비어있는 파일 찾기
$ find / -empty -exec ls -l {} \;
{ }의 의미 : 검색된 파일이 각각 하나씩 치환되었음을 의미한다.
일정기간 이상 사용되지 않은 파일은 자동삭제
$ tmpwatch --mtime +10 /home/<username>
mtime 말고 mmin 을 사용하면 분(minutes) 단위로 명령이 가능하다.
(mtime +1 = +24시간)
파일에 삭제/해킹/변경 방지 속성 부여
$ lsattr +i filepath/filename # 파일에 걸려있는 속성 확인
$ chattr +i rc.local # chattr [옵션] [+.-.=속성] [파일명]
옵션
- -V : 파일 속성을 바꾼 후 결과 출력
- -R : 하위 디렉토리에도 적용
- -v (version): 파일에 버전을 설정
속성
- + : 속성 추가
- - : 속성 제거
- = : 원래 파일이 가지고 있던 속성만을 유지.
- a : 추가모드로만 파일을 열수 있음 (vi 편집기 사용 불가능)
- c : 압축의 형태로 저장함.
- d : dump 명령을 통하여 백업받을 경우 백업하지 않는다.
- i : 파일을 read-only로만 열 수 있게 설정. 링크로 허용X, 루트(root)권한만이 이 속성을 제거 가능하다.
- s : 파일 삭제가 될 경우에 디스크 동기화가 일어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.
- S : 파일이 변경 될 경우에 디스크 동기화가 일어나는 효과가 발생합니다.
- u : 파일이 삭제가 되엇을 경우에는 그 내용이 저장이 되며 삭제되기 전의 데이터로 복구가 가능해 집니다.
-itmore님의 정리-
'GNU+linux > linux 실용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mux 사용해 리눅스 화면 분할 - 리눅스 실무 특집 (0) | 2022.01.02 |
---|---|
전원관리/팬 속도 조절 - 리눅스 실무특집 (0) | 2021.09.29 |
리눅스 에서 G102 마우스 설정하는법 (리눅스에서 로지텍 마우스 설정) (2) | 2021.07.05 |
멀티부팅 - 리눅스와 윈도우 모두 사용하기(고급) (0) | 2021.01.10 |